본문 바로가기

NEWS
역대 최대 ‘MICCAI 2025’...포항공대 김원화 교수 연구실 ‘연구성과’ 공개(인공지능 조현아 동문(통합 20'), 통합과정 백승훈, 석사과정 안하영)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총장 김성근) 김원화 교수 연구실은 지난달 23일부터 27일까지 대전광역시 대덕연구단지 일원에서 열린 제28차 의료영상 컴퓨팅 및 컴퓨터 보조 중재 국제학술대회(MICCAI 2025)에 참여했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열린 제28차 의료영상 컴퓨팅 및 컴퓨터 보조 중재 국제학술대회(MICCAI 2025)는 대한의학영상정보학회(KSIIM, 회장 박진아) 등에 의해 지난 9월 23일부터 27일까지 “개념에서 임상으로(From Concept to Clinical)”, “범아시아 연결(Pan-Asian Connection)”이라는 주제로 개최됐으며 전 세계적으로 의료영상 처리와 컴퓨터 보조 수술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학술대회이다.   올해는 69개국 약 3,3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의 학술대회가 됐으며 참가국 측면에서는 대한민국, 중국,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등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특히 최다 참가국인 대한민국의 활동 속에서 포항공과대학교 김원화 교수 연구실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의 개막 전 환영행사부터 MICCAI 2025의 마지막 날까지 홍보위원장(Communication Chair) 및 지역위원회(Local Committee) 담당자 역할과 함께 연구성과 소개까지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그동안 포항공과대학교 김원화 교수의 의료정보처리 연구실(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은 인공지능(AI)과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영상 및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첨단 연구를 수행해 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5년 글로벌 기초연구실 사업’에 선정돼 총 1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올해 MICCAI 2025에서는 박사후연구원(조현아), 석박사통합과정 학생(백승훈, 박준혁), 석사 졸업생(정성윤) 등이 참가해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뇌영상 및 멀티모달 의료영상 연구와 관련한 연구과정 및 결과를 소개했다.   또한 MICCAI 2025의 마지막 날 열린 ▲그래프와 생체의학 이미지 분석 ▲토폴로지와 이미지 정보학 ▲하이퍼그래프 등을 다룬 제7회 생의학 영상 분석 그래프 기반 모델 연구(GRaphs in biomedicAl Image anaLysis, GRAIL) 워크숍에서 김원화 교수가 기조연설(keynote speech)를 하고 안하영 학생이 관련분야 연구를 발표해 우수 논문상(Best Paper Award)을 수상했다.   다음은 제28차 의료영상 컴퓨팅 및 컴퓨터 보조 중재 국제학술대회(MICCAI 2025)에서 포항공과대학교 김원화 교수 의료정보처리 연구실(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의 연구발표 현황이다.   ▲ 알츠하이머병 진행 예측을 위한 적응형, 적대적 데이터 증강 및 질병 진행 경로 제약 기법(Adaptive Adversarial Data Augmentation with Trajectory Constraint for Alzheimer’s Disease Conversion Prediction)   - 저자: 조현아(Hyuna Cho) 외 Hayoung Ahn, Guorong Wu, Won Hwa Kim   - 내용: 본 연구는 데이터 수가 적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뇌 데이터를 증강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시하여 알츠하이머병 연구에서 데이터 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질병 진행 예측의 정밀도 향상에 기여했다.   특히 안정형과 진행형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뇌 데이터 특징을 그룹별·환자별·뇌의 국소 영역별로 구분하고, 적대적 공격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 증강 방법론을 고안했다. 또한 증강된 데이터가 실제 질병 진행 경로상에 존재하도록 유도하는 경로 기반 제약 기법을 도입함으로써 관측되지 않은 시점의 뇌 데이터를 생물학적으로 타당하게 생성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희귀하고 불균형한 의료 데이터를 보완하고 이를 기반으로 알츠하이머병 진행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제시해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연구에 활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 뇌–텍스트의 쌍곡 표현을 통한 다층 뇌영상 메타분석(Multi-level Neuroimaging Meta-analysis with Hyperbolic Brain-Text Representations)   - 저자: 백승훈(Seunghun Baek) 외 Jaejin Lee, Jaeyoon Sim, Minjae Jeong, Won Hwa Kim   - 내용: 개별 뇌영상 연구는 표본 수가 적어 신뢰성이 낮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분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뇌의 계층적 구조를 반영하는 쌍곡(하이퍼볼릭) 공간 기반의 새로운 메타분석 방법(MNM)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논문 텍스트와 뇌 활성화 지도를 동일한 하이퍼볼릭 공간에 임베딩해 의미적 유사성과 계층적 관계를 동시에 학습하도록 설계됐다.   그 결과로 논문 텍스트로부터 뇌 활성 부위를 예측하거나 반대로 뇌 활성에서 관련 논문을 찾는 성능과 해석력이 모두 향상됐다. 이를 통해 방대한 신경과학 문헌을 보다 체계적이고 다층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출처: 에이티엔뉴스 이기종 기자(https://www.at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382) 2025-10-23
혈당 변화 예측하고 저혈당 잡는 '스마트 AI'(인공지능대학원 황민주 동문(석사 23')) 당뇨병 환자는 매일 채혈침으로 수차례 손가락을 찔러 혈당 수치를 확인한다. 손가락을 찌르지 않고 인공지능(AI)으로 혈당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은 박성민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혈당을 관리할 수 있는 AI 모델 ‘DA-CMTL(Domain-Agnostic Continual Multi-Task Learning)’을 개발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npj 디지털 메디슨’에 16일 게재했다고 21일 밝혔다.    혈당 수치는 식사나 운동 등의 영향으로 끊임없이 변한다. 건강한 사람은 췌장에서 인슐린이 분비돼 혈당이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제1형 당뇨병 환자는 손상된 췌장 세포 때문에 인슐린이 거의 분비되지 않는다. 혈당이 과도하게 떨어지는 ‘저혈당’이 발생하면 의식을 잃거나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어 당뇨병 환자는 지속적인 혈당 체크 및 관리가 필요하다.    AI를 활용한 기존 혈당 관리 기술은 특정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자에게 적용하기 어렵다. 혈당 예측과 저혈당 감지를 별도로 처리해야 한다는 불편도 따른다.    연구팀의 모델은 팔에 붙이는 ‘연속혈당측정기(CGM)’에 5분마다 기록되는 혈당 수치와 인슐린 주입 데이터를 학습한다.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혈당 변화를 예측하고 저혈당 발생 가능성을 계산한다.    연구팀은 세 가지 기술을 결합해 혈당 관리 성능을 높였다. 환자마다 다른 데이터를 학습해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지속 학습(Continual Learning)’, 혈당 예측과 저혈당 감지를 동시에 수행하는 ‘다중 작업 학습(Multi-Task Learning)’, 가상 환경에서 학습한 지식이 실제 환자 데이터에서 효과를 내도록 만드는 ‘가상-현실 전이(Sim2Real Transfer)’ 기술 등이 적용됐다.    연구팀의 모델은 혈당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는 평균제곱근오차(RMSE)에서 14.01mg/dL를 기록해 기존 모델(5.12mg/dL)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전임상 실험과 실시간 인공췌장 시스템에서 뚜렷한 개선 효과를 보여 의료 현장 적용 가능성을 보여줬다.    연구팀은 특정 환자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환자군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개발된 AI 모델의 강점이라고 설명했다. 박성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차세대 인공췌장 기술로 발전할 수 있는 토대”라며 “당뇨 환자의 치료 방식과 삶의 질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출처: 동아사이언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74652) 2025-10-23
DARPA AI Cyber Challenge(AIxCC) 우승(인공지능 박상돈 교수, 인공지능 통합과정 이민재)   POSTECH 인공지능대학원 박상돈 교수, 이민재(인공지능 통합과정), 권민재(컴공 석사과정) 으로 구성된 팀이 속해있는 Team Atlanta가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에서 주최하는 AI Cyber Challenge(AIxCC)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고 우승상금 55억원($4M) 및 트로피를 획득하였다.    DARPA AIxCC는 AI를 이용해서 국가 핵심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사람의 개입 없이 탐지하고 수정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 대회로 2024년 준결승에서 42개의 팀 중에 7팀이 선정되었고 2025년인 올해 7개 팀이 결승전을 치루었다. 2위 및 3위인 Trail of Bits과 Theori가 외국인으로 구성된 반면 Team Atlanta는 한국인이 주축으로 이루어진 팀으로 한국의 보안 및 AI 응용 기술의 우수성을 보인 대회였다.     박상돈 교수가 참여하고 있는 Team Atlanta는 한미 연합팀으로 삼성, 조지아공대, KAIST와 POSTECH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있고 김태수 교수(조지아공대, 삼성)가 총괄하고 있다. AI 전문가로 POSTECH 팀을 이끈 박상돈 교수는 “환상적인 팀에 속해 취약점 탐지 및 수정을 하는 최초의 실용적 에이전틱 AI 개발에 참여하게 되어 기쁘다”는 말과 함께 “신뢰할 수 있는 패치 및 코드 생성 문제를 계속 풀어나갈 것 이다”라는 말을 전했다.    POSTECH 인공지능대학원은 AIxCC 대회를 위해서 2년간 GPU를 제공하였다.   공식 기사: https://www.darpa.mil/news/2025/aixcc-results, https://news.samsung.com/global/samsung-electronics-claims-first-place-in-u-s-government-sponsored-ai-cyber-challenge 2025-08-13
이재호 교수 연구실, ‘국가대표AI’ 개발 네이버 컨소시엄 참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서 네이버 클라우드가 주관하는 컨소시엄이 최종 5개 정예팀 중 하나로 선정되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팀은 네이버, 트웰브랩스, 서울대학교, KAIST, POSTECH,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로 구성되었으며, 우리 대학에서는 인공지능대학원 참여교수이신 이재호 교수님 연구실(Efficient Learning Lab.)이 참여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정예팀의 목표는 범국민 AI 접근성 확대, 산업 확산을 위한 독자 옴니(Omni) 파운데이션 모델 구축과 함께 텍스트·음성·이미지·비디오 데이터를 통합 이해·생성하여 실시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국가 공통 기초지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이재호 교수님의 연구실(EFFL Lab.)에서는 범국민 AI 서비스의 효율화를 위한 모델 경량화와 효율적 학습 선행 기술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 K-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이란?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국가 프로젝트로, 정부-민간이 함께 멀티모달 기반의 국산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재호 교수님 연구실이 포함된 네이버 클라우드팀을 비롯하여, 업스테이지팀, SKT팀, NC AI팀, LG경영개발원 AI연구원팀, 총 5개의 컨소시엄이 선정되었으며, 선정 팀에는 GPU·데이터·인재 지원이 제공됩니다. 2025-08-05
포항 AI컴퓨팅센터, 수냉식 냉각으로 두토끼 잡나(인공지능 박은혁 교수) NHN클라우드, 텐서웨이브 등이 참여해 2027년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 구축하는 글로벌 AI컴퓨팅센터에서 사용할 GPU(그래픽처리장치)가 현재 최첨단인 엔비디아(NVIDIA) B200(블랙웰 기반 아키텍처)으로 채택될 경우 발열 해소에 ‘직접 액체 냉각’ 방식을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AI컴퓨팅센터는 전기요금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공기 대신 액체로 열을 식히는 방식이 에너지·냉각 효율이 매우 높아 강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NHN클라우드의 수냉식 시스템은 GPU 위에 냉각판을 붙여 내부에 냉각수를 직접 흐르게 해 열을 빠르게 흡수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GPU 확보 사업(1차 추경, 1조4600억 원) 참여자로 NHN클라우드와 카카오, 네이버클라우드를 선정해 첨단 GPU 1만3000장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엔비디아(NVIDIA) B200 1만80장, H200(Hopper 기반 아키텍처) 3056장을 연내에 도입하는데, B200은 H200에 비해 연산성능이 2.25배 높다. 이번 국가사업에서 NHN클라우드는 정부가 활용하는 최신 GPU 엔비디아 B200의 75%(7656장)를 직접 구축하는데, 연산성능은 높지만 발열이 심해 강력한 냉각 시스템을 요구하는 B200의 과열을 잡는 수냉식 시스템을 제안한 것이 주효했다. 이처럼 1GW급 초고성능 AI 연산 인프라로 확장될 포항 AI컴퓨팅센터가 GPU를 B200으로 채택할 경우 높은 연산성능과 전기 효율로 강점을 지니게 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AI 인프라 전문 기업인 텐서웨이브(TensorWave)가 고성능 최신 GPU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 구축과 데이터센터 운영을 맡을 예정이다. 포항시 관계자는 “텐서웨이브가 현재 시점에서 최고 성능인 B200을 탑재할 예정이어서 NHN클라우드의 수냉식 냉각 시스템이 빛을 발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항시도 발 빠르게 지원하면서 힘을 보태고 있다. ‘분산에너지특별법’에 따른 전기요금 차등제 적용과 요금 인하 방안을 산업부에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전력계통 영향평가도 5개월 안에 완료할 수 있도록 154kV급 40MW 전력설비 구축을 전제로 한전과 협조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친환경 전력공급 방안으로 에이치에너지와의 협의로 RE100 대응을 위한 저가 전력구매계약(PPA) 방식도 진행하는데, 장기계약 형태로 전기를 공급받는 동시에 초기 투자비 완화를 위한 맞춤형 요금제 적용을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로드맵을 마련할 예정이다. 여기에다 실리콘밸리를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벤처투자 기업으로 AI, 사이버 보안 등 첨단 분야에 대한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했던 트랜스링크캐피탈이 투자사로 참여한다. 박은혁 포스텍 인공지능대학원 교수는 “수냉식 시스템이 공랭식보다 관리가 어렵거나 누수 때 위험성이 있지만, 수냉식 시스템이 월등하게 유리하다”라면서 “글로벌 AI컴퓨팅센터의 큰 장점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출처: 경북매일 배준수 기자(https://www.kbmaeil.com/article/20250731500356) 2025-08-04